본문 바로가기

일잘러특8

‘회복탄력성’_불행과 역경을 이기는 힘 회복탄력성은 자신에게 닥치는 온갖 역경과 어려움을 오히려 도약의 발판으로 삼는 힘을 말합니다. 성공은 어려움이나 실패가 없는 상태가 아니라 역경과 시련을 극복해낸 상태를 말한다고 해요. 떨어져본 사람만이 어디로 올라가야 하는지 그 방향을 알고, 추락해본 사람만이 다시 튀어 올라가야 할 필요성을 절감하듯이 바닥을 쳐본 사람만이 더욱 높게 날아오를 힘을 갖게 되는 거죠. 이것이 바로 회복탄력성의 비밀입니다.회복탄력성을 누구나 다 발휘할 수 있는 것은 아니예요. 마치 고무공처럼 강하게 되튀어 오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유리공처럼 바락에 떨어지는 즉시 산산조각 나서 부서져버리는 사람도 있습니다. 통계적으로 고무공보다는 유리공의 비율이 두 배 이상 더 많다고해요.김주환 교수의 회복탄력성에서는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 2024. 5. 15.
'인디워커'_특화된 전문성을 가진 직장인 되기! 경력을 뜻하는 영단어 커리어(career)의 어원은 라틴어 carrus인데요, 이것은 로마 시대에 전속력으로 달리는 마차의 경주 트랙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전속력으로 내달리며 장애물을 피하고 마차가 전복되지 않으려 애쓰는 과정이 곧 커리어인 거죠. 경력이라는 말속에는 '전속력'과 '경쟁'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 것입니다. 직장 생활은 이 같이 보이지 않는 경쟁의식도 답답한데, 코로나 이후 급격하게 변하고 있는 고용환경(AI의 일자리 대체, 대량 실업, 재택근무 등)은 직장인들을 더욱 불편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단언컨데 직장은 최고의 학교다.하지만 어떤 근무환경, 어떤 고용환경이 오더라도 디지털기술을 활용하여 자립적으로 일할 수 있는 사람이 있으니 이들을 '인디워커'라 부릅니다... 2024. 3. 10.
꾸물대지 않고 실천하기! 우물 주물 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다조지 버나드 쇼(George Bernard Shaw)의 묘비명으로 세간에 알려진 문장입니다. 나이가 들어 가장 많이 후회하는 것 중 하나가 '이거 괜히 했다'라는 후회보다 '내가 그때 그걸 했어야 했는데'라는 후회라고 합니다. 그저 망설이다가 실행에 옮기지 못하고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보여주는 말이죠. 사람들은 왜 실행을 못할까요?  99%, 95%, 최소한 90% 이상의 확신이 드는 상황에서만 고백하고, 지원하고, 선택하는 '실행'을 한다는 거예요. 확실하기 전까지 실행을 미루는 것이죠(이것을 자청은 클루지라고 표현했습니다). 하지만 살다 보면 90% 이상으로 여러 조건이 맞고 확신이 드는 경우는 극히 적다는 것입니다.꾸물대지 말고 당장 실행하세요!혁신은.. 2024. 1. 25.
좋은 친구를 얻는 방법 주변에 마음을 편하게 나눌 수 있는 좋은 친구들이 있나요? 나이가 조금 들고 보니 인생의 벗들은 사실 그렇게 많이도 필요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인간관계에서도 미니멀 라이프.. 비움이 필요합니다. 타인의 비위를 맞추며 의미없이 에너지를 소모할 필요는 없죠. 남 눈치보지 않고, 남과 비교하지 않고, 내가 좋아하는 것을 할 수 있는..그런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마음 맞는 좋은친구는 단 한명이어도 충분합니다. 그 수에 연연할 필요 없습니다. 그 몇명의 좋은친구.. 어떻게 사귀어야 할까요? 좋은친구를 얻는 방법은 먼저 좋은친구가 되는 것입니다. 朋友切切偲偲 兄弟怡怡 붕우절절시시 형제흡흡 친구 사이는 간곡하게 선을 권해야 하며 형제 사이는 화목해야 한다. 2024. 1. 24.
타이탄의 '사소한 루틴' 우리가 하는 행동의 40%가 습관이고, 나머지 60%도 자신의 습관과 연결되어 있다고 합니다. 결국 좋은 습관이 좋은 사람을 만드는 것이죠. 아시겠지만 습관(習慣)이란 어떠한 행동을 학습한 후 일상적으로 반복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그러니 생각이 많으면 습관으로 만들기 어려워요. 습관은 생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행동으로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몸에 배어야 합니다. 의식하지 않아도 몸이 알아서 움직이는 자동화 시스템입니다. 좋은 방향으로 나를 변화시켜야겠다는 마음이 섰다면, 뭐가 되었든 따지지 말고 바로 시작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우린 어떤 습관을 길러야 할까요? 의 저자 팀페리스는 자신이 진행하는 팟캐스트 방송 '팀 페리스 쇼'에서 '세상에서 가장 성공한 인물 200명’을 만나 그들의 성공.. 2024. 1. 21.
일잘러 특, 시간에 쫓기지 않는 방법 바쁘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사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하는 일은 별로 없어보이는 데 늘 분주하고 정신없어 보이는 사람이 주변에 꼭 있죠. 반면에 늘 여유로워 보이는데도 하는 일(해놓은 일)은 엄청 많은 사람들도 있어요. 이들은 '시간관리'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자원 두 가지, 돈과 시간 중에서 '시간'이라는 자원은 어떻게 관리하면 좋을까요? 우선 순위를 정하여 그날의 투두리스트를 작성하라. 공허한 다짐이 아니라 구체적인 실행에 집중한다. 중요한 우선순위에 집중하기 위해서 '미니멀'한 삶을 실천하라. 미니멀한 생활을 하게 된다면 더 중요한 것에 아낌없이 에너지를 쓸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우선 순위를 어떻게 정해야 하는가?'입니다. 시간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데 매우 유.. 2024. 1. 15.
'작은' 선택들이 모여 인생의 '큰'격차를 만든다 인생이 나에게 어떤 환경을 주느냐가 중요한게 아니라, 그 환경에서 내가 어떤 선택을 하느냐가 중요하다. 인생은 매순간 선택의 연속입니다. 무엇을 먹을까, 어떤 옷을 입을까, 누구를 만날까, 주식을 살까 팔까 등 하루에도 수없이 많은 선택속에서 살아갑니다. 놀랍게도, 연구에 의하면 사소한 선택까지 모두 합쳐서 성인 하루 평균 35,000번의 선택을 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수많은 선택 중 유의미한 선택은 하루 평균 150번 정도 되며, 크고 작은 결정 중 진지한 결정은 30회 정도가 된다고 하네요.한 순간의 선택의 잘잘못에 따라 인생의 행복과 불행이 결정됩니다. 선택을 잘 해야 후회 없는 인생을 살 수 있습니다. 프랑스의 실존주의 철학자이자 소설가인 장 폴 사르트르(Jean Paul Sartre)는 “인생은.. 2024. 1. 11.
'손으로 쓴 목표'의 힘 오늘은 '손으로 쓴 목표'의 힘에 대해 함께 생각해 봅시다. 일단 손으로 쓰던 안 쓰던 '목표'를 세우고 실천하려고 노력하는 것 자체는 매우 중요합니다. 책 '원씽'에서도 이 부분을 매우 강조하고 있죠. '당신을 의미 있게 만드는 단 하나, 그것은 무엇인가?'라며 우리에게 질문을 던집니다. 켈리 최 회장이 60번 이상 읽었다고 하는 론다 번의 책 '시크릿'에서는 자신의 원하는 바(목표)를 긍정의 주파수로 '생각'하고(시각화)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면 원하는 무엇이든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하죠. 이것이 바로 '끌어당김의 법칙'입니다. 여러분이 간절히 원하는 목표를 달성했다고 상상해 보세요. 그때의 느낌은 어떨까요? 미친듯이 기분이 좋겠죠. 바로 그 긍정적인 기분과 에너지, 느낌을 '미리'느껴보는거예요. 그.. 2024. 1. 10.